고창의 역사

고창의 역사

  • 01.삼한시대
    마한의 모로비리국(牟盧卑離國) 모이부곡현(牟伊部曲縣)
  • 02. 백제시대
    모량부리현(毛良夫里縣) - (고창현) 송미지현(松彌知縣) - (무장현) 상로현(上老縣) - (무장현) 상칠현(上漆縣) - (흥덕현)
  • 03. 통일신라
    고창현(高敞縣) - 모량부리현 : (AD 757년~경덕왕 16) 무송현(茂松縣) - (송미지현) 장사현(長沙縣) - (상로현) 상질현(尙質縣) - (상칠현)
  • 04. 고려시대
    고창현 무송현 장사현 장덕현(章德縣) ; 1308년(충선왕 즉위까지) 창덕현(昌德縣) ; 1389년(창왕 이전 흥덕현)
  • 05. 조선시대
    고창현 (1895. 5. 26 군승격) (1896. 8. 4 전라남도에 편입) (1906. 전라북도에 편입) 무장현(茂長縣) ; 1417년(무송 ․ 장사 양 ․ 현을 합병 1836년(헌종2년) 군 승격 1896. 8. 4. 전라남도에 편입 1906년 전라북도에 편입 흥덕현 ; 1895. 5. 26(군 승격)
  • 6. 일제시대
    1914. 3. 1. 부령(府令) 제111호로 흥덕 ․ 무장을 병합하여 고창군 설치 1935. 3. 1. 17개 면을 14개 면 (오산, 석곡, 변사면 폐합)으로 폐합. 1955. 7. 1. 고창면을 읍으로 승격(13면) 1991. 1. 행정리 동의 수 533개 분리동으로 늘어남.